중소 LED업체들은 이번 LED조명 적합업종 선정이 상부상조를 위한 역할분담이라고 주장하지만, 사실상 대기업의 입장에서는 단순히 중소기업의 영역 보호를 위해 대기업의 사업권을 제한하는 조치로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다.
또한 높은 가격 장벽으로 인해 일반에게 LED조명의 보급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는 지금 , 대기업의 부재는 오히려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도 대기업측이 강조하는 바다. 오스람ㆍ필립스ㆍGE 등 이른바 빅3가 본격적인 가격 공세에 나선다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부족한 중소기업만으로는 내수시장을 지켜내기 어렵다는 내용이다. 한 경제 전문가는 “중기 적합업종은 법에도 없는 사업이양 권고라는 기묘한 방식을 빌려 대기업을 시장에서 밀어내는 제도”라며 “민간 자율합의라지만 인위적인 기업 퇴출이고, 구시대적인 산업 구조조정과 다르지 않다”고 맹비난하기도 했다. 하지만 국내의 기형적인 재벌 구조를 볼 때, 중소기업의 자생 차원에서 이러한 제도가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대기업들이 모든 산업 영역에 문어발식으로 발을 뻗고 있는 까닭에 중소기업들이 생존 자체가 어려워지고 있는 문제로 인해서다.
서울시립대 허창수 교수는 “중소기업 적합업종이라는 게 외국에는 없다. 우리의 재벌체제가 워낙 독특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강제성 없는 고육책을 내놓은 셈”이라고 평가했다. LED를 포함한 조명산업의 경우, 본래 중소기업 고유업종으로 분류됐었다. 하지만 지난 2006년 고유업종 제도가 폐지된 이후 LG나 삼성, 포스코 등 대기업들의 진출이 잇따르면서 기존 시장을 이끌어 왔던 중소 업체들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중소 LED업체들은 이번 중기 적합업종 선정에 사활을 걸고 있는데, 한국전등기구조합, LED보급협회 등 관련 협ㆍ단체는 물론, 일부 지역의 경우 지자체가 직접 나서서 적합업종 선종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조명산업에 역점을 두고 있는 광주시의 강운태 시장은 “광주시가 미국 등 수출선을 확보하지 못했다면 광주에 있는 중소기업 중심 133개 LED업체는 큰 어려움에 처할 수밖에 없다”며 “LED를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해야 한다”며 1차 선정 품목에서 LED조명 제외된 것에 대해 강한 아쉬움을 토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