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항암식물

朴昌鎬 2010. 9. 5. 19:30

췌장암 환자분들에게 추천해드리는 죽

 

▶ 현미마늘죽

 

* 재료 :
물 5공기, 현미 140g, 마늘 3쪽 (껍질이 자줏빛인 마늘)

* 만드는법 :
1) 현미는 잘 씻어서 30분~40분 담궈놓습니다.
2) 마늘은 끓는물에 5분정도 끓입니다.
3) 마늘을 끓인물에 불린 현미를 넣고 바글바글 끓입니다.
4) 눌러붙지 않도록 잘 저어주시고 삶은 마늘은 잘게다져 같이 끓입니다.

 

▶ 율무죽

 

* 재료 :
율무 2/3컵, 물6컵, 표고버섯1개, 잣약간

* 만드는법 :

1) 율무는 깨끗하게 씻어서 물에 담가 1시간정도 불린 후 건져냅니다.
2) 냄비에 불린율무를 담고 물3컵정도를 붓고 고루저어가며 끓입니다.
3) 끓이다가 걸쭉해지면 불을 약하게 줄인 후 남은 물을 붓고 익도록 끓입니다.
4) 표고버섯은 기눙을 저미고 잘게 다집니다.
5) 한소끔 끓이다 잣을넣어줍니다.

 

▶ 현미아욱죽

 

* 재료 :
현미 한컵, 아욱약간, 물5컵

* 만드는법 :
1) 현미는 불에 불려둡니다.
2) 아욱은 푸른물이 나오지 않을때까지 헹구고 칼로자르지말고 손으로 뜯습니다.
3) 물3컵을 넣고 현미를 바글바글 끓인후 2컵을 넣고 끓이다 아욱을 넣어 마저 끓입니다.

 

차가버섯은?

차가버섯은 시베리아와 북아메리카, 북유럽등 북위 45도 이상 지역의 자작나무에 기생하는 버섯입니다. 정식 학명은 Inonotus Obliquus이며 일본에서는 카바노아나타케라고 불리며 영어권에서는 Chaga라 부릅니다. 일반적인 버섯은 일정한 형태를 갖춘 정형인데, 차가버섯은 자라는 환경에 따라 제각각 모양이 다른 부정형 입니다. 일반적인 버섯과 같은 잔규류는 균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균사는 버섯의 열매, 혹은 씨와 같은 것입니다. 그러나 차가버섯은 Barren flower(열매를 맺지 못하는 식물)종류로서 성장한 버섯의 몸에 균사가 없습니다. 따라서 자체적으로 번식하지 못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차가버섯은 자실체가 아닌 균핵(菌核)이 전체의 90%를 이루고 있으며, 살아있는 나무에 기생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버섯은 죽은 나무나 나무 등걸에 기생하면서 나무의 목질을 주 양식으로 하지만 차가버섯은 살아있는 자작나무에서 목질과 함께 자작나무 수액을 주 양식으로 합니다.

 

차가버섯의 크로모겐 콤플렉스(Chromogen Complex)는?

 

크로모겐(Chromogen)이란 색소의 선구물질이 되는 색소원으로서 차가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멜라닌, 플라보노이드의 선구물질인 티로신, 페닐알라닌 등을 일컫는 말입니다. 산화가 되어버린 멜라닌은 인체에 도움을 주지 않지만 멜라닌, 플라보노이드의 선구 물질인 티로신, 페닐알라닌 등은 인체의 면역력을 회복시켜 주는 중요한 성분입니다.

 

크로모겐 콤플렉스(Chromogen Complex)란 면역력을 강하게 해주는 크로모겐, 다당체인 베타글루칸, 스테로이드,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SOD 성분, 각종 미네랄 등을 총칭하는 용어로서 크로모겐 콤플렉스가 높을수록 좋은 차가버섯 추출분말입니다. 크로모겐 콤플렉스는 산화력이 강하고 고온에 매우 약합니다. 크로모겐 콤플렉스는 80℃를 넘으면 파괴되기 시작합니다. 크로모겐 콤플렉스는 차가버섯이 발휘하는 생리활성 자극과 중추신경계 복원의 핵심성분입니다.

 

자작나무에 병원성(病原性) 균사인 Inonotus Obliquus가 들어오고 차가버섯이 만들어지면 자작나무는 스스로 살아남기 위해서 차가버섯과 투쟁을 벌입니다. 이때 자작나무는 다량의 플라보노이드를 계속적으로 만들어 냅니다. 또 자연 상태의 자작나무도 플라보노이드를 만들어 내는 성질이 강합니다. 국내에서 팔리고 있는 자일리톨 종류는 핀란드에서 수입을 하고 있습니다. 이 자일리톨은 자작나무의 목질을 염산으로 가수분해 해서 만들어냅니다. 핀란드에서는 이 자일리톨의 원료가 되는 자작나무를 러시아에서 수입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자작나무의 플라보노이드는 차가버섯이 자작나무의 목질을 분해 흡수하는 과정과 자작나무의 수액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자작나무로부터 빼앗아 와서 차가버섯에 저장을 합니다.

 

크로모겐 콤플렉스를 구성하고 있는 색소 물질들은 많은 부분이 플라보노이드(Flavonoid)종류입니다.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의 싹이 돋을 때나 상처가 났을 때, 즉 스스로를 외부의 어떤 공격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을 때 분비하는 자기보호 물질입니다. 자작나무에 차가버섯이 생기고 그로부터 10여년 이상 자라면서 자작나무의 플라보노이드를 뭉쳐 놓은 것이 차가버섯의 주요 성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추출과정에서 이 크로모겐 콤플렉스를 제대로, 그리고 최대한 많이 추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차가버섯의 기능적 성분분석은?

 

회분(灰分) : 10.4%, 식물섬유(植物纖維) : 67.5%, 다당류(多糖類) : 14.5%,
수분(水分) : 3.5%, 단백질(蛋白質) : 2.4%, 지질(脂質) : 1.7%

 

차가버섯의 베타글루칸

 

최대의 암 치료 성분은 각종의 다당체(β글루칸)은 면역력을 높이고 암을 예방, 치료하는 작용 외에 세포를 보호하고 인체에 불필요하게 과잉 발생한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성분이 차가에는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저분자 성분으로는 단당(單糖), 아미노산, 유기산(有機酸), 탄닌, 스테로이드 그리고 페놀류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도 페놀류는 폐암을 치료한다는 것이 보고 되어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강한 항암작용을 하는 것은 고분자(高分子) 성분이고 그 역할을 하는 것이 β글루칸과 헤데로글루칸 등의 다당체입니다. 다당체(多糖體)란 그 이상은 분해할 수 없는 단당(單糖)이 다수 결합해 있는 고분자양의 탄수화물(炭水化物)을 말하는 것이고 셀룰로오스, 글리코겐 등이 그 대표입니다.

 

글루코스(포도당)로 구성된 글루칸도 다당체이고 그 결합 방식에 의해서 α글루칸과 β글루칸이 있고 그 위에 1-3 결합, 1-4 결합, 1-5 결합 1-6결합 등으로 복잡하게 분류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현저한 항암 작용을 하는 것이 β글루칸이고 그 중에서 1-3, 1-6결합 방식으로 구성된 것이 가장 강력한 항암 작용을 합니다.

 

β글루칸의 구조는 나무와 같이 간(幹, 줄기)과 지(枝, 가지)로 구별되어 있고 줄기 부분을 주쇄(主鎖)라 하고 가지부분을 측쇄(側鎖)라고 합니다. 차가버섯에 있는 β글루칸은  자연계에서 보기 드물게 주쇄와측쇄가 1-3 과 1-6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β글루칸의 갈라진 가지 선단 부분에 어떤 성분이 결합되는 가에 따라 면역 활성 기능에 큰 차이가 납니다. 차가에 포함되어 있는 β글루칸은  암세포를 정복하는 데 최강인, 가장 이상적인 결합 즉, 단백질과 산화물의 결합 방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차가버섯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β글루칸의 항암 작용과 더불어 차가의 다른 다당체의 효능도 밝혀지고 있으며 차가에서 고수율(高收率)로 얻을 수 있는 헤미셀룰로오스가 식물 섬유인 것만 보아도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다당체가 차가에는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차가버섯에 포함되어 있는 β글루칸이 체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 지 간단히 살펴보면 체내에 β글루칸이 침투하면 먼저 면역세포 중에서도 제일 중요한 임무를 가지고 있는 macrophage가 자극을 받습니다. 대식세포(탐식세포)라는 별명을 가진 매크로페이지는  β글루칸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사이도카인(림프구의 면역 세포기능을 높이는 활동을 하는 물질)을 대량으로 분비하고 면역을 높이는  T세포에 활력을 줍니다. T 세포는 다시 대식세포에 적극적으로 작용하여  대식세포를 활성화 시킵니다. 이러한 작용의 반복에 의하여 면역세포가 상호 기능을 강화해 나갑니다.

 

그 과정에 암세포와 바이러스 감염 세포 등을 직접 공격하여 퇴치하는 NK 세포(자연면역세포)와 다른 면역세포도 활성화 되어 임전 체제(臨戰體制)를 확실히 구축합니다. 이렇게 해서 체내의 면역력이 최고조에 달하고 비록 암세포가 발생하여도 대식세포와 T세포에게 발견되어 곧바로 격퇴됩니다. 또 암세포가 증식해 있다고 해도 활성화된 면역세포들이 쳐들어가 암의 침공을 물리쳐서 서서히 인체에서 암세포가 사라집니다. 이것이 차가버섯의 β글루칸의 작용입니다.

 

차가버섯의 활성산소 제거능력

 

항산화효소 SOD(Super Oxide Dismutase)로서 차가버섯의 기능이 인정 받고 있습니다. 활성산소는 본래 동식물의 체내에 존재하며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의 물질이 체내에 침투하면 이를 소멸시킴으로서 몸을 지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인체에 필요 이상으로 많이 발생된 과잉 활선산소는 오히려 인체를 공격하게 되어 각종 질환을 야기 시키며, 불포화 지방산 또는 지질을 산화시켜 과산화 지질을 형성시키게 됩니다.

 

과산화지질은 신장으로 배설되지 않고 서서히 세포를 파괴하여 성인병의 근원이 되는 것입니다. 차가버섯 조성성분중 주목할 만한 사실은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신체의 변화에 관계없이 자기의 상태를 지켜주는 항산화효소 SOD(Super Oxide Dismutase)의 함유량이 높다는 점입니다. 특히 차가버섯은 SOD의 함유량 면에서는 최고 함유량을 자랑하는 아가리쿠스버섯 보다도 수십 배나 높다는 것입니다.

 

결론:

 

이상으로 어머님께서 드실만한 항암죽 만드는 법과 차가버섯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보았습니다. 암이 발생하는 수많은 원인이 있는 것처럼 암을 치료하는 방법도 다양합니다.

 

어머님께는 현대의학과 대체의학을 병행, 보완 하여 보다 효과적인 암 치료의 방법을 찾으셔야 합니다. 실제로 암을 완치한 사람들을 살펴 보면, 현대의학과 함께 자신에게 맞는 대체의학을 병행한 환자들이 많이 존재 한다는 것은 임상실험을 통해 증명 되고 있습니다. 그 중 한국대체의학센터에서 권해 드리는 대체요법은 차가버섯, 후코이단, 온열치료와 비타민나무열매, 금앵자 두 가지의 천연 비타민 입니다. 물론 이와 함께 현대의학적 치료, 심리요법, 운동요법, 식이요법을 병행 해야 보다 근본적인 암의 완치를 기대 할수 있습니다



P 朴昌鎬님의 파란블로그에서 발행된 글입니다.